한국의 제사 문화는 공자(孔子)의 가르침을 신봉하는 유교(儒敎)의 형식과 제례를 전통적으로 이어 온 중국식 허례허식(虛禮虛飾)에 치중하는 방식의 결과물이다.

 

유교문화가 들어오기 전 우리 민족은 허례허식이 아닌 일상 속에서 어머님들은 ‘정화수(井華水) 한 그릇’을 장독대 위에 올려놓고 가족들의 건강과 집안의 화평을 위해 두 손을 모아 빌었다.
 

중국식 허례허식 제사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낭비가 너무 크다. 이제 우리는 허례허식에 치중하는 중국식 제사 문화를 버리고, 간소화된 우리만의 ‘정화수 한 그릇’ 문화로 돌아가야 한다. 개인적으로 제사는 지내지 않으며, 불교 신자인 여동생이 다니는 절에서 제사를 모시고 있다.
 

‘맞아 죽을 각오로 말한다. 유교문화의 종말(終末)’ 시대에 살면서 중국식 악습(惡習)은 뿌리를 뽑아버려야 한다. 허례허식이 판을 치는 제사문화. 장례문화. 혼인문화는 우리 시대에 모두 뿌리를 뽑아 버려야 한다. 그래야 우리 후손들이 자유롭다.

[내용펼치기(클릭)]

한국의 제사 문화는 공자(孔子)의 가르침을 신봉하는 유교(儒敎)의 형식과 제례를 전통적으로 이어 온 중국식 허례허식(虛禮虛飾)에 치중하는 방식의 결과물이다.

 

유교문화가 들어오기 전 우리 민족은 허례허식이 아닌 일상 속에서 어머님들은 ‘정화수(井華水) 한 그릇’을 장독대 위에 올려놓고 가족들의 건강과 집안의 화평을 위해 두 손을 모아 빌었다.
 

중국식 허례허식 제사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낭비가 너무 크다. 이제 우리는 허례허식에 치중하는 중국식 제사 문화를 버리고, 간소화된 우리만의 ‘정화수 한 그릇’ 문화로 돌아가야 한다. 개인적으로 제사는 지내지 않으며, 불교 신자인 여동생이 다니는 절에서 제사를 모시고 있다.
 

‘맞아 죽을 각오로 말한다. 유교문화의 종말(終末)’ 시대에 살면서 중국식 악습(惡習)은 뿌리를 뽑아버려야 한다. 허례허식이 판을 치는 제사문화. 장례문화. 혼인문화는 우리 시대에 모두 뿌리를 뽑아 버려야 한다. 그래야 우리 후손들이 자유롭다.


최근 글텍스트쿠키
추천하는 글텍스트쿠키
최근글
인기글
이모티콘창 닫기
울음
안녕
감사
당황
피폐